본문 바로가기
일반

일반지식

by 행복하고 2022. 12. 25.

1. 생물을 분류할 때 종(種, species)을 기본으로 하여 그 위로 계(界, kingdom)까지 7단계를 두고 있다. 분류 단계를 순서대로 적고 동물계에 속하는 붕어는 어떤 목(order)에 속하는지 적으시오.

 

답 : 현대 생물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스웨덴의 식물학자인 카를 폰 린네가 제시한 (Kingdom)-문(Phylum (식물의 경우Division))-강(Class)-목(Order)-과(Family)-속(Genus)-종(Species)의 범위의 생물 분류법에 상위 분류인 역(Domain)을 추가하여 분류, 잉어목

(출처:https://namu.wiki/w/%EC%83%9D%EB%AC%BC%20%EB%B6%84%EB%A5%98%20%EB%8B%A8%EA%B3%84)


2.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역대 제왕들의 사적을 편년체(編年體)로 기록한 책을 보관하던 사고(史庫) 중에서 조선초(세종)의 4대 사고를 적으시오.

 

답 : 춘추관, 충주, 성주, 전주

 

 - 편년체 : 연,월,일 순으로 정리하는 편찬 체제.

 - 편찬 : 여러가지 자료를 모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책을 만듦.


3. 미국의 우주개발 일환으로 우주선 밖으로 작업하거나(우주 유형), 우주 공간에서 다른 비행체와 나란히 비행하거나(우주 랑데부), 우주 공간에서 다른 비행체와 결합(우주 도킹)하는 등의 실험을 중심으로 한 우주선 발사 게획은 무엇인가?

 

답 : 제미니 계획

 

 - 처음에는 이 계획을 머큐리 마크2로 불렀지만, 후에 정식으로 제미니(Gemini)라 명명했다.


4. Ernest Hemingway의 소설 "The Sun Also Rises" 서문에 소설가 G.Stein이 처음 쓴 말로 제 1차 세계대전 후의 전쟁에 환멸을 가진 당시의 미국의 지식계급을 이르는 말은?

 

답 : Lost Generation (잃어버린 세대)


5. 광해군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의 아들 영창대군을 죽이고 대비를 폐하여 서궁에 감금했던 사실을 쓴 글이 있다. 이 글의 작품명과 연대와 작자의 이름은 무엇인가?

답 : 계축일기(서궁록), 광해군5, 궁녀


6. 독도는 조선시대 1432년(세종14)에 편찬된 <세종실록> 지리지 강원도 울진 현조에서도 "우산, 무릉 두 섬이 (울진)현 정동(正東) 바다 한가운데 있다." 하여 동해 상에 무릉과 우산의 두 섬이 있다는 것을 더욱 분명히 하였다. 그 후 1881년(고종 18)부터 독도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 전에 독도를 지칭하는 이름 4가지는 무엇인가?

 

답 : 우산도, 삼봉도, 가지도, 요도


7. 미국 역사를 대표하는 심볼로 자리 잡고 있는 백악관은 Washington 대통령 재임 기간에 지어 졌으나 그는 살지 않았다. 백악관에 처음으로 입주한 대통령은?

 

답 : John Adams


8. 통조림의 발명 연도와 그 사람의 국적, 이름은?

 

답 : 1804년, 프랑스 파리, 아페르


9.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마라톤을 금기로 여기고 있는 국가와 그 이유는?

 

답 : 이란, 마라톤의 근원이 되는 마라톤 전쟁에서 패배했던 페르시아의 후예이기 때문에 당연히 치욕의 역사를 되풀이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


10. 애국가

 

애국가(愛國歌)는 ‘나라를 사랑하는 노래’라는 뜻이에요. 우리나라는 애국가에 특별한 이름을 붙이지 않고 국가(國歌)로 사용하고 있어요.

오늘날 불리고 있는 애국가 노랫말은 우리나라가 외세의 침략으로 위기에 처해있던 시기(1907년 전후)에 나라 사랑하는 마음과 우리 민족의 자주의식을 북돋우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여져요.

그 후 여러 선각자의 손을 거쳐 현재와 같은 내용을 담게 되었는데 이 노랫말에 붙여진 곡조는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사인 (Auld Lang Syne)’ 이었답니다. 당시 해외에서 활동 중이던 작곡가 안익태(安益泰) 선생은 애국가에 남의 나라 곡을 붙여 부르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1935년에 오늘날의 애국가를 작곡하였다고 해요.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현재의 애국가가 정부의 공식행사에서 불려지고, 교과서에도 실리면서 전국적으로 불려지기 시작했답니다.

 

출처 : 행정안전부(https://www.mois.go.kr/chd/sub/a05/story/screen.do)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지식  (0) 2022.11.25
일반지식  (0) 2022.11.24
일반지식  (0) 2022.11.24
일반지식  (0) 2022.11.22
일반 지식 단어  (0) 2022.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