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よくも"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어. 기본적으로는 감정을 담은 말이라 긍정/부정에 따라 해석이 달라져.
🔹 기본 의미:
**よくも(良くも)**는 직역하면 "잘도", "어떻게 감히" 같은 느낌이야.
보통은 부정적인 감정을 담아서 누군가의 행동을 비난하거나 놀랄 때 써.
🔸 예문 & 해석:
- よくもそんなことが言えたね。
→ 잘도 그런 말을 할 수 있었네.
→ 어떻게 감히 그런 말을 했어? - よくも私を裏切ったな!
→ 잘도 나를 배신했구나!
→ 어떻게 감히 나를 배신해! - よくもまあ飽きずに毎日ゲームできるね。
→ 잘도 매일 질리지도 않고 게임하네.
→ 약간의 비꼼 섞인 말투
간혹 긍정적으로 쓰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비난·비꼼·분노의 뉘앙스로 쓰여. 누가 "よくも"라고 했다면, 뭔가 기분 상한 일이 있었을 가능성이 커.
**「よくもそんなことが言えたね。」**는 직역하면:
🔍 해석
"어떻게 그런 말을 할 수가 있어?"
또는
"잘도 그런 말을 할 수 있었네?"
➡️ 비난, 분노, 충격 같은 감정이 담긴 말이야.
➡️ 듣는 사람에게 따지듯이 말할 때 써.
✅ 단어 분석
부분의미
よくも | 잘도, 감히 (비꼬거나 따질 때 쓰는 말) |
そんなこと | 그런 일, 그런 말 |
が | ~이 (주격 조사) |
言えた | 말할 수 있었다 (言う의 가능형 과거) |
ね | ~네 (감탄/확인 등 뉘앙스, 여기선 빈정거리는 느낌도 됨) |
「よくもそんなことが言えたね。」
요쿠모 손나 코토가 이에타네
🗣️ 느끼는 감정도 같이 말하자면:
화나거나 충격받은 상태에서
➡️ "요쿠모! 손나 코토가 이에타네!"
이런 식으로 강조해서 말하면 더 자연스러워.
🌀 간사이벤(오사카 사투리)
ようそんなん言えたな。 요우 손난 이에타나
(Yō sonnan ieta na.)
✅ 차이 설명
표준어간사이벤뜻
よくも | よう | 감히, 잘도 |
そんなこと | そんなん | 그런 거, 그런 일 |
言えたね | 言えたな | 말할 수 있었네? (비꼬는 느낌) |
🎭 뉘앙스
- 간사이벤은 감정 표현이 더 쎄고 직설적이야.
- "ようそんなん言えたな!" →
"야, 잘도 그런 말 했네 진짜!"
라는 느낌. 실제로 화날 때 많이 씀!
요우 손난 이에타나
🗯️ 느낌 살려서 읽자면:
"요↗우! 손난! 이에타나↘!"
➡️ 어이없고, 따지는 느낌으로 말하면 더 리얼해 😤
출처 : Chat GPT
'일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끄저께 ~ 글피 / 요일 (1) | 2025.06.08 |
---|---|
일본어 정중표현 お (0) | 2025.06.08 |
ぜったいに (젯타이니) (0) | 2025.06.07 |
일본어로 개수 세기 (0) | 2025.06.06 |
7시 7분, 시와 분을 말할때 사용하는 방법이 왜 다른가? (0)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