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백제, 신라, 고구려 의 역사

by 행복하고 2020. 9. 2.

1. 백제
 : 중국과의 교류를 활발히 하였기 때문에 삼국 중 가장 먼저 전성기를 맞이했다.

왕 순서 : 고이왕->근초고왕->개로왕->무령왕->성왕->무왕->의자왕

 도읍이동 : 한성 -> 웅진 -> 사비

 1) 고이왕 
  : 성장과 개혁을 동시에 해낸 왕.

    (성장과 개혁 다음은 전성기를 맞을 수 있다.)
  -관등 : 관리들의 등급을 매김.
  -관복 : 서열에 따라 옷색깔을 달리함.

 2) 근초고왕 (백제의 전성기, 4C)
  -요서/규슈 진출, 마한병합 
    *규슈진출에 대한 증거 
      : 칠지도 (일곱개의 가지) -> 일본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
  -고구려 공격 = 고국원왕을 전사시킴 -> 근초고왕은 정복군주

   (백제가 전성이기이던 시절에 고구려는 위기인 상태였다.)
 
 3) 개로왕 

  -고구려 장수왕이 공격하여 한성점령하고, 개로왕을 전사시켰다.

  -한성 -> 웅진(지금의 공주) = 도읍을 이동(천도)

 4)
 ① 무령왕
  -고향 : 일본
  -22담로 왕족파견 (왕권강화를 위한 노력)
  -벽돌무덤 (남조교류)

 ② 성왕
  -국호를 남부여로 바꿈.
  -사비천도 (중흥) = 도읍이동

 5) 
  ① 무왕 : 익산 미륵사지
     (연화공주 서동)

  ② 의자왕
   - 계백 -> 백제의 부흥운동 (황산벌전투)
   - 사비가 함락
   - 백제부흥운동 인물 
     1) 흑치상지 2) 복신 3) 도침 -> 백강전투

 

 

 

 

 

 

 


 2. 고구려 

태조왕->고국천왕->미천왕->고국원왕->소수림왕->광개토대왕->장수왕->수.당

 

1)

 ① 태조왕 : 옥저 정복
 ② 고국천왕 
  -연맹왕국단계에서 고대국가 단계로 넘어가는데 일조한 왕

  - 행정5부
  - 진대법 (을파소를 통해 반든 법)
    :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갚도록 하는 제도. = 춘대추납

 2) 
 ① 미천왕 : 낙랑축출
 ② 고국원왕 :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전사함.

 ③ 소수림왕 : 고구려의 진정한 개혁왕
  - 율령 : 행정법과 형법
  - 불교 
  - 태학 : 유교를 가르치는 대학

 3) 
 ① 광개토대왕 (고구려의 전성기)
  - 광개토대왕비 : 영토정벌에 대한 것이 비석에 적혀있다.
  - 호우명그릇 
   : 그릇에 광개토대왕의 이름이 적혀있다. 
    신라 호우총에서 발견되었으며, 남쪽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

 ② 장수왕 : 광개토대왕의 아들 
  - 국내성 -> 평양성 : 도읍이동 
  - 평양성 (남하정책) : 나제동맹
  - 충주고구려비

 4) 

 ① 수 <- 살수대첩 (을지문덕) : 수의 침략을 막아냄
 ② 당 <- 안시성싸움. 나당연합에 의해서 무너짐
  - 고구려부흥운동 인물 
    고연무 / 검모잠 / 인승 
    (3연승으로 외우면 쉽다.)

 

 

 3. 신라 : 삼국 통일의 주인공

 

 

 

1) 박 -> 석-> 김
  : 성씨들이 돌아가면서 왕위차지 -> 단일화된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음

2) 내물마립간 
 : 김씨세습 -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왜의 침입으로 인하여 나라가 무너질 뻔 한 것을 막아줌.

3) 
 ① 지증왕 
  : 왕, 신라, 우산국(이사부 독도) -> 이사부를 보내서 정복
 ② 법흥왕  

  - 율령 (고구려소수림왕, 백제 고이왕)

  - 불교 (이사돈의 순교) 이차돈의 목을 베어 불교를 국교화시킴
  - 금관가야 정복

 ③ 진흥왕 : 삼국통일의 기반을 세움
  - 한강장악 (관산성전투에서 백제성왕 죽임), 나제동맹깨고 배신
  - 진흥왕순수비
  - 화랑도개편

4) 
① 나당연합 : 백제, 고구려 멸망시킨다
        ↓
나당전쟁 : 매소성, 기벌포
        ↓ 
삼국통일 : 문무왕(용->동해) 내가 죽어서 바다의 용이 되리라!

 

4. 가야 

-연맹왕국O : 이 단계에서 끝이 났다.

-고대국가X :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함.

 

 1) 금관가야 (전기)
  - 변한 : 철이유명 
  - 법흥왕때 망함
   : 신라에 쳐들어온 왜를 광개토대왕이 추격하는데 그 왜가 금관가야까지 진입해서 가야가 쇠퇴함.

 

        ↓ 광개토대왕(내물마립간의 SOS)

 2) 대가야 (후기)

  - 진흥왕때 멸망 

한 나라의 전성기가 다른 나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연관해서 잘 생각해봐야함.

 

 


ebs 최태성 선생님의 강의를 보고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극기의 모양 기억하기  (0) 2020.08.29
한국사 공부 -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  (0) 2020.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