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제
: 중국과의 교류를 활발히 하였기 때문에 삼국 중 가장 먼저 전성기를 맞이했다.
왕 순서 : 고이왕->근초고왕->개로왕->무령왕->성왕->무왕->의자왕

도읍이동 : 한성 -> 웅진 -> 사비
1) 고이왕
: 성장과 개혁을 동시에 해낸 왕.
(성장과 개혁 다음은 전성기를 맞을 수 있다.)
-관등 : 관리들의 등급을 매김.
-관복 : 서열에 따라 옷색깔을 달리함.
2) 근초고왕 (백제의 전성기, 4C)
-요서/규슈 진출, 마한병합
*규슈진출에 대한 증거
: 칠지도 (일곱개의 가지) -> 일본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
-고구려 공격 = 고국원왕을 전사시킴 -> 근초고왕은 정복군주
(백제가 전성이기이던 시절에 고구려는 위기인 상태였다.)
3) 개로왕
-고구려 장수왕이 공격하여 한성점령하고, 개로왕을 전사시켰다.
-한성 -> 웅진(지금의 공주) = 도읍을 이동(천도)
4)
① 무령왕
-고향 : 일본
-22담로 왕족파견 (왕권강화를 위한 노력)
-벽돌무덤 (남조교류)
② 성왕
-국호를 남부여로 바꿈.
-사비천도 (중흥) = 도읍이동
5)
① 무왕 : 익산 미륵사지
(연화공주 서동)
② 의자왕
- 계백 -> 백제의 부흥운동 (황산벌전투)
- 사비가 함락
- 백제부흥운동 인물
1) 흑치상지 2) 복신 3) 도침 -> 백강전투
2. 고구려
태조왕->고국천왕->미천왕->고국원왕->소수림왕->광개토대왕->장수왕->수.당

1)
① 태조왕 : 옥저 정복
② 고국천왕
-연맹왕국단계에서 고대국가 단계로 넘어가는데 일조한 왕
- 행정5부
- 진대법 (을파소를 통해 반든 법)
: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갚도록 하는 제도. = 춘대추납
2)
① 미천왕 : 낙랑축출
② 고국원왕 :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전사함.
③ 소수림왕 : 고구려의 진정한 개혁왕
- 율령 : 행정법과 형법
- 불교
- 태학 : 유교를 가르치는 대학
3)
① 광개토대왕 (고구려의 전성기)
- 광개토대왕비 : 영토정벌에 대한 것이 비석에 적혀있다.
- 호우명그릇
: 그릇에 광개토대왕의 이름이 적혀있다.
신라 호우총에서 발견되었으며, 남쪽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
② 장수왕 : 광개토대왕의 아들
- 국내성 -> 평양성 : 도읍이동
- 평양성 (남하정책) : 나제동맹
- 충주고구려비
4)
① 수 <- 살수대첩 (을지문덕) : 수의 침략을 막아냄
② 당 <- 안시성싸움. 나당연합에 의해서 무너짐
- 고구려부흥운동 인물
고연무 / 검모잠 / 인승
(3연승으로 외우면 쉽다.)
3. 신라 : 삼국 통일의 주인공

1) 박 -> 석-> 김
: 성씨들이 돌아가면서 왕위차지 -> 단일화된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음
2) 내물마립간
: 김씨세습 -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왜의 침입으로 인하여 나라가 무너질 뻔 한 것을 막아줌.
3)
① 지증왕
: 왕, 신라, 우산국(이사부 독도) -> 이사부를 보내서 정복
② 법흥왕
- 율령 (고구려소수림왕, 백제 고이왕)
- 불교 (이사돈의 순교) 이차돈의 목을 베어 불교를 국교화시킴
- 금관가야 정복
③ 진흥왕 : 삼국통일의 기반을 세움
- 한강장악 (관산성전투에서 백제성왕 죽임), 나제동맹깨고 배신
- 진흥왕순수비
- 화랑도개편
4)
① 나당연합 : 백제, 고구려 멸망시킨다
↓
② 나당전쟁 : 매소성, 기벌포
↓
③ 삼국통일 : 문무왕(용->동해) 내가 죽어서 바다의 용이 되리라!
4. 가야
-연맹왕국O : 이 단계에서 끝이 났다.
-고대국가X :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함.
1) 금관가야 (전기)
- 변한 : 철이유명
- 법흥왕때 망함
: 신라에 쳐들어온 왜를 광개토대왕이 추격하는데 그 왜가 금관가야까지 진입해서 가야가 쇠퇴함.
↓ 광개토대왕(내물마립간의 SOS)
2) 대가야 (후기)
- 진흥왕때 멸망
한 나라의 전성기가 다른 나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연관해서 잘 생각해봐야함.
ebs 최태성 선생님의 강의를 보고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극기의 모양 기억하기 (0) | 2020.08.29 |
---|---|
한국사 공부 -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 (0) | 2020.08.21 |